git 명령어 별칭(alias) 설정
'터미널' 환경에서 자주 사용하는 git 명령어를 별칭으로 설정해 사용하면 편리하다. 다음과 같은 별칭은 자주 사용된다고 한다.
참고로, --global
옵션은 '사용자 레벨'에서 해당 별칭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는 의미이다. --
옵션은 'git 명령어'에서 'git 명령어 옵션' 부분과 '파일명' 부분을 명확히 구분시키는 역할을 한다. --
옵션 이후에 나오는 부분은 명령어 옵션이 아니라 '파일명'으로 인식한다.
현재 작업 브랜치의 마지막 커밋 메시지 확인
git config --global alias.last 'log -1 HEAD'이후에
git last
명령어를 사용하면 현재 작업 브랜치의 마지막 커밋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.현재 작업 브랜치에 '스테이징'된 특정 파일 '언스테이징'
git config --global alias.unstage 'reset HEAD --'이후에
git unstage <파일명>
명령어를 사용하면 현재 작업 브랜치에 '스테이징'된 파일을 '언스테이징' 할 수 있다.
설정된 git 명령어 별칭의 '나열/변경/삭제'는 git 설정 페이지를 참고할 것. 일반 git 설정값과 같은 방식으로 별칭을 설정하고 변경하고 삭제할 수 있다.
쉘(shell)에서 git 명령어 별칭 설정
'유닉스' 계열의 '쉘'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이라면 쉘 자체의 '별칭' 기능을 사용해 git 명령어 별칭을 설정할 수도 있다. 예를 들어서 다음과 같은 별칭을 설정할 수 있다.
'short form' 형태의 로컬 git 저장소 상태 출력
alias gss='git status -s'여기서 'gss'는 'git status short'의 약자이다. 이후에
gss
명령어를 사용하면 'short form' 형태의 로컬 git 저장소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.'현재 폴더'의 모든 파일을 '스테이징'하고 '커밋'
alias gac='git add .'여기서 'gac'는 'git add current'의 약자이다. 이후에
gac
명령어를 사용하면 '현재 폴더'의 모든 파일을 '스테이징'한다.'커밋 메시지'를 옵션으로 지정해 '커밋'
alias gcm='git commit -m'여기서 'gcm'은 'git commit message'의 약자이다. 이후에
gcm "커밋 메시지"
명령어를 사용하면 '커밋 메시지'를 옵션으로 지정해 '커밋'할 수 있다.
alias
명령어로 설정한 별칭은 현재 '쉘' 세션이 종료되면 사라진다. 별칭을 '영구적'으로 사용하고 싶다면, 사용중인 쉘의 'run command' 스크립트 파일에 별칭을 설정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. 참고로 'Bash 쉘'의 해당 스크립트 파일명은 ~/.bashrc
이다. Bash 쉘의 확장인 'zsh 쉘'의 해당 스크립트 파일명은 ~/.zshrc
이다. 몇가지 참고할 만한 리눅스 커맨드 페이지에서 .bashrc
파일에 대해서 일부 설명하고 있으니 참고할 것.
현재 '쉘' 세션에 설정된 별칭의 목록은 단순히 alias
명령어를 실행해 확인할 수 있다. 현재 쉘 세션에 설정된 별칭을 제거하고 싶다면, unalias
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. 예를 들어서, 앞서 설정한 gss
별칭을 제거하고 싶다면 unalias gss
같이 실행하면 된다. 별칭의 재정의는 단순히 다시 별칭을 설정하면 된다.